문제
거북이는 이제 어떤 것에도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그 이유는 거북이가 300년동안 살았고, 그 동안 모든 것들을 다 해보았기 때문이다. 거북이는 시간을 떼우는 무엇인가를 하려고 한다. 이번 주말에 거북이는 거북이 세계에서 매우 유명한 게임인 "가장 큰 직사각형 만들기"를 해보려고 한다.
이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거북이는 양의 정수 네 개를 머릿 속에 생각해야 한다. 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90도 회전한 뒤에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런 식으로 세 번 90도 회전을 하고, 네 번 앞으로 움직여서 선분 네 개를 만들어야 한다.
거북이가 선분을 그릴 때 움직여야 하는 걸음의 수는 생각해 놓은 네 정수중 하나이다. 이때, 한 정수를 각각 한 번씩 사용해야 한다. 거북이가 정수를 사용하는 순서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이 만들어진다. 어떤 모양은 직사각형을 만들 수 없기도 한다.
거북이가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거북이가 생각한 네 양의 정수 A, B, C, D가 주어진다. (0 < A, B, C, D < 100)
출력
첫째 줄에 거북이가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의 면적을 출력한다.
풀이 과정
A, B, C, D 를 네 변으로 이용하여 로 가장 큰 직사각형을 만들어야 한다. A B C D 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가로 두 변 / 세로 두 변에서 각각 작은 변과 큰 변이 존재한다. ( ex. 가로 1 2 / 세로 3 4 )
여기서 직사각형의 면적을 계산할 때는, 큰 변의 길이 대신 작은 변의 길이로 면적이 결정된다. ( 큰 변의 길이로는 길이가 남기 때문에 )
A, B, C, D 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가능한 직사각형의 경우는
가로 AB (A) 세로 CD (C) -> 너비 A x C
가로 AC (A) 세로 BD (B) -> 너비 A x B
가로 AD (A) 세로 CB (B) -> 너비 A x C
A x C 가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의 면적이다.
거북이가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직사각형의 면적은, 네 정수 중 두 번째로 큰 정수와 네 정수 중 제일 작은 정수의 곱이다.
arr = sorted(map(int, input().split()))
print(arr[0]*arr[2])
'-- 예전 기록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J ] 17614 : 369 ( BRONZE 3 ) / Python (0) | 2023.08.15 |
---|---|
[ BOJ ] 12790 : Mini Fantasy War ( BRONZE 3 ) / Python (0) | 2023.08.15 |
[ BOJ ] 3059 : 등장하지 않는 문자의 합 ( BRONZE 3 ) / Python (0) | 2023.08.15 |
[ BOJ ] 14720 : 우유 축제 ( BRONZE 3 ) / Python (0) | 2023.08.15 |
[ BOJ ] 3407 : 맹세 ( SILVER 2 ) / Python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