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유명한 제빵사 김원웅은 빵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웅이의 빵집은 글로벌 재정 위기를 피해가지 못했고, 결국 심각한 재정 위기에 빠졌다.
원웅이는 지출을 줄이고자 여기저기 지출을 살펴보던 중에, 가스비가 제일 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원웅이는 근처 빵집의 가스관에 몰래 파이프를 설치해 훔쳐서 사용하기로 했다.
빵집이 있는 곳은 R*C 격자로 표현할 수 있다. 첫째 열은 근처 빵집의 가스관이고, 마지막 열은 원웅이의 빵집이다.
원웅이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설치하려고 한다. 빵집과 가스관 사이에는 건물이 있을 수도 있다. 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놓을 수 없다.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모든 파이프라인은 첫째 열에서 시작해야 하고, 마지막 열에서 끝나야 한다. 각 칸은 오른쪽, 오른쪽 위 대각선, 오른쪽 아래 대각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각 칸의 중심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원웅이는 가스를 되도록 많이 훔치려고 한다. 따라서,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여러 개 설치할 것이다. 이 경로는 겹칠 수 없고, 서로 접할 수도 없다. 즉, 각 칸을 지나는 파이프는 하나이어야 한다.
원웅이 빵집의 모습이 주어졌을 때, 원웅이가 설치할 수 있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R과 C가 주어진다. (1 ≤ R ≤ 10,000, 5 ≤ C ≤ 500)
다음 R개 줄에는 빵집 근처의 모습이 주어진다. '.'는 빈 칸이고, 'x'는 건물이다. 처음과 마지막 열은 항상 비어있다.
출력
첫째 줄에 원웅이가 놓을 수 있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과정
처음에는 단순 그리디로 최대한 윗 공간에 파이프라인을 배치는 방식으로 풀이하려고 했었는데 틀렸습니다 를 받았다. 더 다양한 경로를 고려해야 함을 간과했던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pweu1/btstwE3rAwY/2uiS5zKA4eerRQnpAikhzK/img.png)
BFS를 시도해보려고 했지만 왜인지 파이썬에서는 메모리 초과 (...) 가 나서.. 아무래도 파이프라인을 배치하는 탐색을 진행하며 경로 과정을 모두 저장했기 때문일 것이다.
수월한 구현을 위해 그리디한 DFS로 풀이했다.
그리디하게 위의 공간을 먼저 탐색하는 것과 동시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할 수 없는 경로라면 다음에 이 경로를 탐색해도 파이프라인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 앞이 막혀있으면 당연히 이후에도 갈 수 없음 ) 방문 처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한 키포인트라고 생각한다. 단순하게 그리디하게 탐색하면 시간 초과가 난다.
#include <stdio.h>
char maps[10001][501];
int r, c;
int visited[10001][501];
int dfs(int y, int x) {
if (x == c - 1) {
maps[y][x] = 'x';
return 1;
}
if (y - 1 >= 0 && maps[y-1][x+1] == '.' && visited[y-1][x+1] == 0) {
if (dfs(y-1, x+1) == 1) {
maps[y][x] = 'x';
return 1;
}
}
if (maps[y][x+1] == '.' && visited[y][x+1] == 0) {
if (dfs(y, x+1) == 1) {
maps[y][x] = 'x';
return 1;
}
}
if (y + 1 < r && maps[y+1][x+1] == '.' && visited[y+1][x+1] == 0) {
if (dfs(y+1, x+1) == 1) {
maps[y][x] = 'x';
return 1;
}
}
visited[y][x] = 1;
return 0;
}
int main(void) {
scanf("%d %d", &r, &c);
for (int i = 0; i < r; i++)
scanf("%s", maps[i]);
int result = 0;
for (int i = 0; i < r; i++) {
if (dfs(i, 0) == 1) result += 1;
}
printf("%d", result);
return 0;
}
'-- 예전 기록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J ] 10871 : X보다 작은 수 ( BRONZE 5 ) / C, C++, Python, Java (0) | 2023.09.12 |
---|---|
[ BOJ ] 10159 : 저울 ( GOLD 4 ) / Python (0) | 2023.09.11 |
[ BOJ ] 10807 : 개수 세기 ( BRONZE 5 ) / C, C++, Python, Java (0) | 2023.09.11 |
[ BOJ ] 10951 : A+B - 4 ( BRONZE 5 ) / C, C++, Python, Java (1) | 2023.09.11 |
[ BOJ ] 27114 : 조교의 맹연습 ( GOLD 4 ) / Python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