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atcoder.jp/contests/agc029/tasks/agc029_a A - Irreversible operation AtCoder is a programming contest site for anyone from beginners to experts. We hold weekly programming contests online. atcoder.jp s[i] 번째 문자가 W면, W를 왼쪽으로 가져가기 위해 i 번 만큼 flip 해야 한다. 이전에 W가 k번 나왔다면, i - k 번 만큼 flip 해야 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s = input().rstrip() result = 0 cnt = 0 for i in range(len(s))..

https://atcoder.jp/contests/abc156/tasks/abc156_c C - Rally AtCoder is a programming contest site for anyone from beginners to experts. We hold weekly programming contests online. atcoder.jp 1부터 100까지 해당 좌표에서 미팅을 열었을 때의 포인트를 전부 계산하여 최소 포인트를 찾는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rstrip()) arr = list(map(int, input().rstrip().split())) result = -1 for i in range(1, 101): now =..

문제 독일 로또는 {1, 2, ..., 49}에서 수 6개를 고른다. 로또 번호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유명한 전략은 49가지 수 중 k(k>6)개의 수를 골라 집합 S를 만든 다음 그 수만 가지고 번호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k=8, S={1,2,3,5,8,13,21,34}인 경우 이 집합 S에서 수를 고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총 28가지이다. ([1,2,3,5,8,13], [1,2,3,5,8,21], [1,2,3,5,8,34], [1,2,3,5,13,21], ..., [3,5,8,13,21,34]) 집합 S와 k가 주어졌을 때, 수를 고르는 모든 방법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첫 ..

문제 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풀이 과정 재귀 태그가 달려있긴 하지만, 토네이도 만들기를 구현해도 AC를 받는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rstrip()) * 4 - 3 if n == 1: print('*') else: arr = [['*'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2)] now = [1, n - 1] row = [0, 1, 0, -1] col = [-1, 0, 1, 0] dir = 0 cnt = 0 while True: arr[now[0]][now[1]] = ' ' i..

문제 수현이는 일년의 날짜가 1일부터 365일로 표시되어있는 달력을 가지고있다. 수현이는 너무나도 계획적인 사람이라 올 해 일정을 모두 계획해서 달력에 표시해놨다. 여름이 거의 끝나가자 장마가 시작되었고, 습기로 인해 달력에 표시한 일정이 지워지려고 한다. 지워지는 것을 막고자 수현이는 일정이 있는 곳에만 코팅지를 달력에 붙이려고 한다. 하지만 너무 귀찮았던 나머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기로 한다. 연속된 두 일자에 각각 일정이 1개 이상 있다면 이를 일정이 연속되었다고 표현한다. 연속된 모든 일정은 하나의 직사각형에 포함되어야 한다. 연속된 일정을 모두 감싸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크기만큼 코팅지를 오린다. 달력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일정은 시작날짜와 종료날짜를 포함한다. 시작일이 가장 앞..

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 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했고, 1번 열과 N번 열도 연결했다. 즉, N번 행의 아래에는 1번 행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knapsack
- segment-tree
- C++
- lca
- lazy-propagation
- implementation
- Greedy
- Prefix-Sum
- java
- codeup
- math
- Python
- PS
- C
- backtracking
- BFS
- stack
- Binary-Search
- BOJ
- 백준
- Sort
- bitmask
- ad_hoc
- number_theory
- kmp
- string
- sparse_table
- queue
- bruteforcing
- D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