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5

[ BOJ ] 10999 : 구간 합 구하기 2 ( PLATINUM 4 ) / C

문제 어떤 N개의 수가 주어져 있다. 그런데 중간에 수의 변경이 빈번히 일어나고 그 중간에 어떤 부분의 합을 구하려 한다. 만약에 1,2,3,4,5 라는 수가 있고, 3번째부터 4번째 수에 6을 더하면 1, 2, 9, 10, 5가 되고, 여기서 2번째부터 5번째까지 합을 구하라고 한다면 26을 출력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1번째부터 3번째 수에 2를 빼고 2번째부터 5번째까지 합을 구하라고 한다면 22가 될 것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과 M(1 ≤ M ≤ 10,000), K(1 ≤ K ≤ 10,000) 가 주어진다. M은 수의 변경이 일어나는 횟수이고, K는 구간의 합을 구하는 횟수이다. 그리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N개의 수가 주어진다..

[ BOJ ] 1395 : 스위치 ( PLATINUM 3 ) / C

문제 준규네 집에는 총 N개의 스위치가 있고 이를 편하게 1번부터 N번까지 차례대로 번호를 매겼다. 그리고 준규의 취미는 이 스위치들을 켜고 끄는 것이다. 준규가 하는 스위치를 갖고 노는 일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A번부터 B번 사이의 스위치 상태를 반전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C번부터 D번 사이의 스위치 중 켜져 있는 상태의 스위치의 개수를 세는 것이다. 하지만 준규가 싫증을 느껴 우리가 이 귀찮은 일을 떠맡게 되었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일을 처리하도록 결정하였다. 입력 첫 줄에는 스위치의 개수 N(2 ≤ N ≤ 100,000)과 처리할 일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 대해 각 줄에 처리할 일에 대한 정보가 담겨진 세 개의 정수 O, Si, Ti가 입력된..

[ 확률통계 ] 표본분산을 구할 때 n-1로 나누는 이유

어떤 모집단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확률변수를 X라고 할 때, X의 평균, 분산, 표준편차를 모평균, 모분산, 모표준편차라고 한다. 모집단에서 임의추출한 크기가 n인 표본을 이라 할 때, 이들의 평균, 분산, 표준편차를 표본평균, 표본분산, 표본표준편차라고 부른다. 표본분산을 계산할 때, n이 아니라 n-1로 나누는 이유는? 분산은 평균과의 차를 제곱한 것들의 합을 n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모집단의 분산을 구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평균과의 차를 제곱한 것들의 합을 n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되지만, 모집단이 너무 크다면 모평균과 모분산을 구하기 힘들다. (데이터 수가 많기 때문에) 그렇기에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이용해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을 구하여 모분산을 추정하려고 한다. 그런데 모집단에서 ..

[ BOJ ] 2193 : 이친수 ( SILVER 3 ) / Python

문제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11을 부분 문자열로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10, 100, 101, 1000, 1001 등이 이친수가 된다. 하지만 0010101이나 101101은 각각 1, 2번 규칙에 위배되므로 이친수가 아니다. N(1 ≤ N ≤ 90)이 주어졌을 때,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과정 N자리 이친수의 개수는 피보나치 수열의..

[ BOJ ] 1938 : 통나무 옮기기 ( GOLD 2 ) / Python

문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은 평지에서 벌목을 한다. 그 지형은 0과 1로 나타나 있다. 1은 아직 잘려지지 않은 나무를 나타내고 0은 아무 것도 없음을 나타낸다. 다음 지형을 보자. B 0 0 1 1 B 0 0 0 0 B 0 0 0 0 1 1 0 0 0 E E E 0 0 위의 지형에서 길이 3인 통나무 BBB를 밀거나 회전시켜 EEE의 위치로 옮기는 작업을 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BBB와 EEE의 위치는 임의로 주어진다. 단 문제에서 통나무의 길이는 항상 3이며 B의 개수와 E의 개수는 같다. 통나무를 움직이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상하좌우(Up, Down, Left, Right)와 회전(Turn)이 있다. - 코드의미 U 통나무를 위로 한 칸 옮긴다. D 통나무를 아래로 한 칸 옮긴다. L 통나무..

[ BOJ ] 9625 : BABBA ( SILVER 5 ) / Python

문제 상근이는 길을 걷다가 신기한 기계를 발견했다. 기계는 매우 매우 큰 화면과 버튼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를 발견했을 때, 화면에는 A만 표시되어져 있었다. 버튼을 누르니 글자가 B로 변했다. 한 번 더 누르니 BA로 바뀌고, 그 다음에는 BAB, 그리고 BABBA로 바뀌었다. 상근이는 화면의 모든 B는 BA로 바뀌고, A는 B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버튼을 K번 눌렀을 때, 화면에 A와 B의 개수는 몇 개가 될까? 입력 첫째 줄에 K (1 ≤ K ≤ 45)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A의 개수와 B의 개수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풀이 과정 한 번 버튼을 누를 때 마다 A의 개수는 그 전의 B의 개수, B의 개수는 그 전의 A의 개수 + 그 전의 B의 개수이다. DP 배열을 이용해 ..

[ BOJ ] 2217 : 로프 ( SILVER 4 ) / Python

문제 N(1 ≤ N ≤ 100,000)개의 로프가 있다. 이 로프를 이용하여 이런 저런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각각의 로프는 그 굵기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들 수 있는 물체의 중량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 개의 로프를 병렬로 연결하면 각각의 로프에 걸리는 중량을 나눌 수 있다. k개의 로프를 사용하여 중량이 w인 물체를 들어올릴 때, 각각의 로프에는 모두 고르게 w/k 만큼의 중량이 걸리게 된다. 각 로프들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이 로프들을 이용하여 들어올릴 수 있는 물체의 최대 중량을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모든 로프를 사용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임의로 몇 개의 로프를 골라서 사용해도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로프가 버틸 수..

[ BOJ ] 5676 : 음주 코딩 ( GOLD 1 ) / C

문제 오늘은 ACM-ICPC 대회 전 날이다. 상근이는 긴장을 풀기 위해서 팀원들과 근처 술집으로 갔다. 상근이와 친구들은 다음 날 있을 대회를 연습하기 위해서 작은 게임을 하기로 했다. 먼저, 선영이는 상근이에게 총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 X1, X2, ... XN을 적어준다. 게임은 총 K번 라운드로 이루어져있고, 매 라운드마다 선영이는 상근이에게 명령을 하나씩 내린다. 명령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가 있다. 변경: 이 명령은 친구가 수열의 한 값을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한다. 곱셈: 선영이는 상근이에게 i와 j를 말한다. 상근이는 Xi × Xi+1 × ... × Xj-1 × Xj 의 값이 양수인지, 음수인지, 0인지를 대답한다. 곱셈 명령에서 상근이가 대답을 잘못했을 때의 벌칙은 소주 한 잔이다...

[ BOJ ] 16930 : 달리기 ( PLATINUM 3 ) / Python

문제 진영이는 다이어트를 위해 N×M 크기의 체육관을 달리려고 한다. 체육관은 1×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 칸은 빈 칸 또는 벽이다. x행 y열에 있는 칸은 (x, y)로 나타낸다. 매 초마다 진영이는 위, 아래, 오른쪽, 왼쪽 중에서 이동할 방향을 하나 고르고, 그 방향으로 최소 1개, 최대 K개의 빈 칸을 이동한다. 시작점 (x1, y1)과 도착점 (x2, y2)가 주어졌을 때, 시작점에서 도착점으로 이동하는 최소 시간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체육관의 크기 N과 M, 1초에 이동할 수 있는 칸의 최대 개수 K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체육관의 상태가 주어진다. 체육관의 각 칸은 빈 칸 또는 벽이고, 빈 칸은 '.', 벽은 '#'으로 주어진다. 마지막 줄에는 네 정수 x1,..

[ BOJ ] 2955 : 스도쿠 풀기 ( GOLD 2 ) / Python

문제 스도쿠는 가로 9칸, 세로 9칸으로 이루어져 있는 표에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채워 넣는 퍼즐이다. 퍼즐을 푸는 방법은 각 가로줄과 세로줄에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한 번만 넣고, 3*3칸의 작은 격자에도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겹치지 않게 넣어야 한다. 스도쿠를 푸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은 Cross-hatching이다. Cross-hatching방법을 이용할 때는, 먼저 숫자를 하나 골라야 한다. 그런 뒤에, 그 숫자가 등장하는 가로줄이나 세로줄 또는 3*3 박스에 선을 긋는다. 이렇게 선을 그었을 때, 3*3박스에 고른 숫자가 들어갈 수 있는 칸이 한 칸일 때, 그 숫자를 채우는 것이다. 아래 그림 중 왼쪽 그림은 매우 조금만 숫자가 채워진 스도쿠이고, 오른쪽 ..